pISSN: 2233-8349 / eISSN: 2713-9328

구술사연구, Vol.10 (2019)
pp.145~185

4.16참사 유가족이 경험한 상실의 복합적 의미 : 부모의 구술증언을 중심으로

이예성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박사과정)

본 연구의 목적은 4.16기억저장소에서 발행한 『4.16구술증언록』을 통하여 4.16 참사 유가족 중 단원고 희생 학생의 부모들이 경험한 상실의 특성과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4.16참사 이후 한국 사회는 자녀를 잃은 유가족들의 슬픔을 지켜보고, 이들 이 겪을 트라우마를 우려하였지만 실제 유가족들이 4.16참사로 인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크게 주목하지는 않아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특히 유가족의 경험을 개인적인 자녀와의 사별이나 자녀 상실의 차원에서만 접근하는 방식을 탈피하고 이들의 경험을 사회문화적 현상의 차원으로 파악하고자 하 였다. 분석 결과, 부모들은 1) 왜곡되고 혼란스러운 참사의 상황 때문에 자녀의 죽음 을 받아들이고 다루어 낼 온전한 기회를 상실하였으며, 2) 가족, 친척, 친구 등 가까 운 관계, 3) 국가 및 사회의 존재와 의미 상실을 경험하였다. 이와 같은 복합적 상실 을 유가족이 겪는 개인적인 경험으로 가두어 보는 것은 4.16참사의 결과를 온전히 이 해하는 데 한계를 가져 온다. 4.16참사로 인한 부모들의 상실 경험은 단지 자녀 상실 의 한 사례가 아니라, 사회문화적·정치적 요소 등에 따라 복잡하게 구성되어 다양한 차원에서 나타나는 역사적 경험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층적 상실의 상황 속에서도 부 모들은 동시에 새롭게 유대와 결속을 만들어내는 적극적인 관계 생성의 움직임을 보 이고 있다.
  4.16참사,유가족,부모,상실,구술증언

Complex Meaning of Loss Experienced by Bereaved Family of 4.16 Disaster : With Focus on the Oral Testimony of Parents

Lee, Yes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loy the “4.16 Oral Testimonies” complied by the 4.16 Memory Archives to investigate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loss that the parents of student victims of 4.16 disaster experienced. After the tragic incidents, although many in Korean society became concerned with the trauma and the sufferings of the parents, the multi-dimensional range of the loss experienced by these parents was often overlooked. In particular, since previous studies had focused heavily on the personal dimension of the parents’ experience, it had been difficult to recognize the loss experienced in th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dimensions of their lives. With the attempt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the 4.16 disaster, this study offers a way to understand the loss caused by 4.16 disaster as a historical experience by investigating the bereaved parents’ experiences of loss at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dimens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parents experienced loss of: 1) opportunities for proper rituals to mourn for the death of their children due to the distorted representations of the incident in the media and the social and political struggles that followed; 2) many close relationships and communities, such as family, relatives, and friends; and 3) trust in the state and the society. However, despite complicated and multi-layered experiences of their loss, the parents also actively create new social relationships, bonds, and communities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movements including this oral testimony.
  4.16 disaster,Bereaved Family,Parents of Victim,Loss,Oral Testimony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우 15588]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한양대학교 ERICA 국제문화관 402호
COPYRIGHT 2015 한국구술사학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