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2233-8349 / eISSN: 2713-9328

구술사연구, Vol.12 (2021)
pp.55~100

DOI : 10.51855/koha.2021.12.1.002

1980~90년대 게이 하위문화와 대안가족의 구성 : 제도적 이성애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대현

(연세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1970년대 이래 종로·을지로·신당 등의 극장 및 유흥업소는 오늘날의 게이·트랜스 젠더 여성과 유사한 형태의 비규범적 성애·성별 실천 당사자들이 모여드는 장소였고, 그곳과 그곳에 모인 사람들 위에는 일정한 사회적 낙인이 공전하였다. 그렇게 조성된 게이 게토와 그곳을 드나드는 사람들은 합법과 불법의 경계 위에 놓여 있었고, 그곳에 는 경찰과 깡패의 법적·비법적 폭력, 나아가 이성애규범적 사회의 시선 가운데 성적 지 향이 공개될 가능성이 늘 도사리고 있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비규범적 성애·성별 실 천 당사자들이 이성애규범적 사회를 피해 그곳에서 느끼는 동류에 대한 유대감 또한 존 재했다. 종로3가에서 오래 활동한 구술자의 생애사는 이렇게 서로 등을 맞댄 두 가지 요소, 즉 사회적 낙인과 그 속에서 탄생한 게이 하위문화와 밀접하게 관계맺고 있었다. 나아가 1990년대 성소수자 인권운동 및 커뮤니티에 의해 성소수자 정체성이 정식화 되기 이전, 남성 동성애는 이성애의 수행과 종종 뚜렷이 분리되지 않았고, 여성과 결혼 한 상태에서 남성과의 성적 실천을 수행한 ‘기혼이반’ 남성이 특히 그러했다. 이러한 ‘기혼이반’과는 달리 구술자는 남성과의 동거 관계를 꾸준히 실천해나갔다. 그것은 구술 자의 원가족이 돌봄과 친밀감을 제공하지 못했고, 원가족 구성원들이 구술자에게 이성 애 결혼에 대한 압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즉 구술자는 당대의 편견 처럼 정상가족과 거리가 멀었던 원가족으로 인해 게이가 ‘되었던’ 것이 아니라, 거꾸로 그러한 가족 덕택에 비교적 온전히 게이로 정체화하고 살 수 있었다. 이는 당대 비규범 적 성애·성별 실천 당사자들에게 작동했던 제도적 이성애의 실체 가운데 하나였다.
  성소수자,게이,퀴어,가족구성권,정상가족,대안가족,제도적 이성애

South Korean Gay Subculture and the Construction of Alternative Families in 1980-90s : Focusing on Relationship with Institutional Heterosexuality

Kim, Daehyun

Since the 1970s in South Korea, theaters, bars, and dance clubs at Jongno, Euljiro, and Shindang districts in Seoul were the places where the people performing non-normative sexual and gender practices —who could be identified as sexual minorities from the view of today — gathered. There has been a varying degree of social stigma in the places thereabouts. The gay ghetto and the people around there were situated in a gray area between legality and illegality. In such places, there were juridical or arbitrary acts of violence by the police and thugs, and one’s sexual orientation could be disclosed at any moment under the gaze of heteronormative society. However, at the same time, there were tight bonds among the people who performed non-normative sexual and gender practices, avoiding heteronormative society. This research illuminates the social stigma and the gay subculture whereby conceived which have been firmly interconnected in the oral life history of a gay man who has been active on Jongno 3-ga for his lifetime. Before the identities of sexual minorities formulated by the LGBT social movement and community, male homosexuality was not often clearly separated from the performing of heterosexuality, especially with the individuals who are called gihon iban —a man married to a woman and still have sex with men. The narrator, different from them, has had domestic partnerships with men throughout his life. The narrator states that it was possible only because his family-of-origin neither offered sufficient care and intimacy to nor imposed heterosexual marriage on him. In other words, the narrator did not “become” gay because of having family-of-origin being far from normal, as the pathological perspective on homosexuality prevalent at the time dictates, but rather has been living while embracing his identity as a gay man owing to them. His life history tells a substance of the institutional heterosexuality operated to the people performing non-normative sexual and gender practices at the time.
  Sexual Minority,Gay,Queer,The Constituents Of Family,Normal Family,Alternative Family,Institutional Heterosexuality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우 15588]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한양대학교 ERICA 국제문화관 402호
COPYRIGHT 2015 한국구술사학회. ALL RIGHTS RESERVED.